본문 바로가기

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소개


777레지던스 > 입주작가 소개 상세보기 - 제목, 분야, 학력, 전시약력, 작품설명, 파일 제공
제목 1기 박희자(Bahc, Heeza)
분야 사진
학력 2017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전문사 졸업
2015 Certificate of completion (Exchange student), Academy of Fine arts In Prague, Studio of Prof. Jojef Dabering, Cz
2006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학사 졸업
전시약력 개인전
2024 <포스터는 사용자 정의 할 수 있습니다>, 갤러리더씨, 서울
2022 <Short talk on why some people find┖┒exciting>, 쿤스틀러하우스베타니엔, 베를린, 독일
2020 <뤼리리;rerere>, BMW포토스페이스, 부산
2019 <形과 틀과 FRAME>, 부천아트벙커 B39, 부천
2018 <사물이탈>, 공;간극, 서울・<다중노출>, 송은아트큐브, 서울

주요 단체전
2024 <섬의명령 Dislandorder>, 예술공간이아, 제주
2023 <리사무소에서 알려드립니다>, 예술곶산양, 제주
2023 <PL.3>, Museumuniquepiece, 서울
2023 <발푸르기스의밤:한국의 마녀들>, 세종문화회관갤러리, 서울
2022 <정착세계>,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22 <Eisenwunderwelt>, Moving Poet Novilla 베를린, 독일
2020 <장욱진서거30주년전-강가의 아뜰리에>,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
2019 <플랫폼아티스트>,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9 <Summer Love>,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9 <cold frame>, 신한갤러리역삼, 서울
2019 <아이엠그라운드>, 온수공간, 서울
2017 <퍼블릭아트 뉴히어로전>, JCC아트센터, 서울
2017 <사진 미래色 2017 제9회 KT&G Skofp 선정작가전>,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2017 <(Not) for sale>,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춘천
2016 <Mission 2017 Cosmosparty>, 공간413, 서울
2016 <우리는 우주에 간다: COSMOS PARTY>, 인사미술공간, 서울
2016 <사적 공간>, 신한갤러리 역삼, 서울
2016 <비인칭적 삶>, 175갤러리, 서울
2015 <ŠSC - Šaloun social club>, 스트라호브 경기장, 프라하, 체코
2015 ㅍContemporary art ruhr (C.A.R)>, Sanaa Building, 에센 졸버레인, 독일
2014 <RED-ROSE CHAIN>, 스페이스캔 오래된집, 서울

전시기획
2023 <과천대면 (2023경기도공공미술프로젝트)>, 추사박물관, 과천
2017 <NOLIFEKING (서울시립미술관 시민큐레이터)>, 보안1942, 서울

레지던시
2023 예술 곶 산양, 제주
2021-22 Künstlerhaus Bethanien (Arko 해외레지던시 지원 지정형), 베를린, 독일
2019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6-17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777레지던시, 양주
2014 스페이스캔 오래된집, 서울

수상 및 기금
2024 예술경영지원센터 전속작가지원
2024 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지원
2023 경기도 공공미술 프로젝트 (with 프로젝트컨택쌀롱)
202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해외레지던스지원 (지정형)
2021 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지원
2020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 (준비형)
2019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생애첫지원 (발표형)
2018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발표형)
2017 퍼블릭아트 매거진 뉴히어로 선정
2016 제9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 선정
2014 제15회 사진비평상 작품상 부문 수상

예술교육 경력
2023~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겸임교원
2024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 자율기획 선정 및 프로그램 기획운영
2023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 자율기획 선정 및 프로그램 기획운영
2021 서울문화재단 TA
작품설명 나는 여성의 서른 즈음의 여성에게 찾아오는 삶에 대한 정체감, 이로부터 파생되는 감정적 충돌을 드러내고자 했다. 서른 무렵의 여성에게 주어지는 사회 위치적, 경제적 책임감은 지난 이십대 때의 그것과는 다른 종류의 불안감을 가지게 한다.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지만 숨 막히는 일상의 이면에 감춰진 감정들은 점점 타인으로부터 나를 고립되게 만들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이러한 감정을 ‘권태’라 하는데, 이는 현실이 이상에 비해 너무 초라할 때, 그 무엇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세상일에 심드렁해져 크게 기쁠 일도, 슬플 일도 없는 무기력한 상태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