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주간농사정보(7. 23 ~ 7. 29)
내용

주 간 농 사 정 보 (7.23 7.29)


벼농사

□ 본논관리

 ○ 벼는 이삭 패기 15일전 이삭 팬 후 10일까지는 어린 이삭이 많이 자라고 개화 수정을 하여 등숙이 되는 초기로 각종 환경 변화에 예민하고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해 준다.

     6 7cm 깊게 대주기

 ○ 이삭 팬 이후에는 뿌리에 산소의 공급이 잘 이루어지도록 물을 2 3㎝로 얕게 대거나 물 걸러대기를 하는 것이 좋다.

 ○ 벼이삭이 패는 시기에 품종 특성을 가장 잘 구분할 수 있으므로 내년도에 종자로 사용할 포장은 잡 이삭, 피 등을 제거하여 순도 높은 우량종자를 확보하도록 한다.

 ○ 논두렁이나 수로의 피 등 잡초를 수시로 베어 주어 물 흐름을 원활하게 해 준다.

□ 병해충방제

 ○ 이삭도열병은 발생 정도가 심할수록 쌀 품질과 밥맛이 낮아지고 수량 감소가 크므로 반드시 병이 발생하기 전에 방제하여야 한다.

 ○ 침투이행성 입제로 방제할 때는 이삭패기 30 10일전에, 수화제는 이삭패기 7일 전부터 이삭패기 직전까지 살포하여 방제한다.

 ○ 일반 유제나 수화제로 방제할 때는 한 논에 벼이삭이 2 3개 보일 때 1차 방제를 하고, 1차 방제 후 5 7일경 다시 한 번 방제를 하도록 한다.

 ○ 온도가 높고 포기 내 습도가 높으면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이 많아지므로 이삭도열병과 동시에 방제한다.

 ○ 멸구류, 혹명나방 등 해충은 발생정도에 따라 적기에 약효가 우수한 농약으로 방제한다.

밭농사

 ○ 논 콩, 사료작물 등 밭작물을 심은 포장은 물 빠짐이 나쁘면 습해를 받게 되므로 배수구를 정비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콩밭에 노린재가 발생하면 빈 꼬투리가 되거나 제대로 자라지 못하게 되어 피해가 크므로 적기에 방제토록 한다.

 ○ 참깨 꼬투리의 등숙률을 높이려면 한 포장에서 꽃이 피기 시작한 때부터 35 40일경(수확 20 25일전)에 순지르기를 해 준다.

 ○ 참깨의 돌림병, 잎마름병, 세균성점무늬병 등은 동시에 방제토록 하는데 농약혼용 가부표를 정확히 지켜야 한다.

버섯

 ○ 가을철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려는 농가는 종균과 볏짚, 폐면 등 자재를 미리 준비하고 재배사는 소독을 하여 병해충의 전염원을 차단한다.

 

채 소

□ 고추

 ○ 역병에 걸린 포기는 가능한 일찍 뽑아 없애고 토양에 적용약제를 관주하여 건전한 포기로 확산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

 ○ 침수가 되었거나 과습한 포장에서는 역병, 탄저병 등의 병해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토록 하고, 예찰정보 등

 ○ 날씨가 무더워지면 탄저병과 담배나방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 붉은 고추는 진홍색으로 되었을 때 수확하여 다음에 열리는 고추가 잘 자라도록 해 주고 웃거름은 35 40일 간격으로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한다.

 ○ 수확한 붉은 고추는 건조기의 온도를 알맞게 하여 품질 좋은 고추를 생산하도록 한다.

 ○ 장마기간 중에 붉은 고추를 건조할 때는 건조기를 이용하면 희나리도 적고 상품성 높아진다.

     건조할 때 건조기 초기온도는 65℃에 5 6시간 건조한 후 전기를 끈 후 건조기내 습기를 제거한다. 그 후 다시 60℃로 조절하여 7 8시간 건조한 후 다시 55℃에 17시간을 건조한 다음 햇빛에 2일정도 말리면 태양초와 같이 된다.

과 수

□ 과수원관리

 ○ 웃자란 가지는 나무 안쪽까지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고 약제살포시  고루 묻도록 웃자란 가지를 정리한다.

 ○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배수로를 정비하고 태풍에 의한 바람 피해가 없도록 시설물을 단단히 고정하며 가지나 원줄기를 받침대로 받쳐준다.

 ○ 사과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반점낙역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무늬병,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과실, 잎, 새가지를 자세히 살펴보고 병반이 보이면 적용 약제를 충분히 뿌려 주도록 한다.

 ○ 점박이응애는 수관 내부의 잎에 60% 정도의 잎에서 발견되면 방제하는데, 장마기간 중에 발생이 급증할 수 있으므로 수관 내부와 수관 상단을 관찰하여 적기에 방제한다.

□ 과실 수확

 ○ 자두, 복숭아 등은 서늘할 때 익은 과실만 따도록 하고 복숭아는 눌리거나 부딪치면 과실이 쉽게 물러지므로 취급에 주의하도록 한다.

 ○ 비를 맞은 직후에 과실을 수확하게 되면 당도가 낮아져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비가 그친 후 2 3일 지나서 수확을 하도록 한다.

 ○ 수확한 과실은 서늘한 곳에서 규격별로 선별한 뒤 포장 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출하하도록 한다.

화 훼

 ○ 국화재배 하우스는 고온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30% 해가림 시설을 해 주도록 한다.

 ○ 안개초를 삽목재배 할 때에는 삽수를 채취하기 전에 벤레이트를 살포하고 삽수의 기부에는 발근제를 분의 처리한 후에 삽목하는데, 삽목상은 40% 정도 해가림을 해주어 활착률을 높이도록 한다.

 ○ 아이리스를 촉성재배 하기 위한 종구 저온처리는 온도 8℃에서 30 60일간 실시하도록 한다.

축 산

□ 가축 사양관리

 ○ 사료 보관창고는 습도와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배합사료를 너무 많이 쌓게 되면 상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1주일 정도의 소요량을 구입하도록 한다.

 ○ 무더운 날씨에는 어미돼지가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해야 하므로 물 꼭지(니플)의 물 나오는 양을 수시로 점검한다.

 ○ 여름철은 닭 사육밀도에 따라 고기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환기를 철저히 해주면서 사육하는 마리당 면적을 10 20% 정도 넓혀 사육하도록 한다.

□ 초지 사료작물 관리

 ○ 방목은 아침, 저녁으로 실시하되 목초의 고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목초의 길이가 10 20㎝ 정도 유지되도록 방목 강도를 조절한다.

 ○ 초지를 신규로 조성할 대상지는 잡초약을 미리 뿌려 잡목, 산야초 등 장애물 제거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여름철 잦은 비로 쓰러진 옥수수와 수수류는 가능한 빨리 베어서 품질저하와 수량감소를 방지하도록 한다.

□ 가축 질병예방

 ○ 장마기간 중에 축사는 충분한 통풍환기를 시키고, 분뇨를 제거하여 적정습도를 유지하고, 유해가스를 줄여 주어야 한다.

 ○ 축사를 소독할 때는 소독약의 효력 작용시간(10 30분), 희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비가 오기 이전에 소독을 완료한다. 비가 올 때에는 축사 내부를 중점적으로 소독하고 비가 그친 후에는 축사 안팎과 분뇨처리장 주변소독을 실시하도록 한다.

 ○ 고온에 의한 가축의 기립불능증, 열사병 예방을 위하여 선풍기를 이용 바람을 불어주거나 머리 등에 시원한 물을 뿌려주어 체온을 내려주고, 축사에는 햇빛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그늘막이나 환풍기 등을 설치하여 온도를 내려주도록 한다.

 ○ 모기, 파리 등 유해 곤충에 의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게 되므로 축사 주변 물웅덩이를 제거하고 모기퇴치전구, 살충등 등을 이용하여 가축에 접근을 막도록 한다.

 ○ 돼지콜레라 방지를 위하여 축사안팎을 소독하고, 평상시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고,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한다.

 ○ 소 부루세라병, 결핵병 및 광견병의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의 축사 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축사 내․외부를 소독한다.

 ○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 질병발생 예방을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백신을 접종한다.

 ○ 가축분뇨 퇴비장은 적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액비 저장탱크는 폭기와 교반을 잘 하여 완전히 부숙 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액비를 이용하도록 한다.

 

경기도농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