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품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1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1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2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3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4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5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1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1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2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3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4
  • 백범 김구 선생상 이미지5

백범 김구 선생상

  • 관리번호 SC 0168
  • 작품명 백범 김구 선생상
  • 작가명 민복진
  • 제작년도 1980년대
  • 재료
  • 규격 86x38.5x50cm

작품설명

<백범 김구 선생상>(1980년대)은 서울 남산 백범광장에 위치한 백범 동상과 일치하는 모습이다. 실제 백범광장에 건립된 동상은 10m 높이의 대형 기념비로 이 작품은 86cm 높이로 축소화되어 제작되었다. 민복진 작품 명제는 ‘모자상,’ ‘모정,’ ‘가족’ 등이 주를 이룰 만큼 휴머니즘에 근거하여 정감이 넘치는 인간상으로 설명된다. 이와 동시에 그는 동상, 흉상 제작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1960-1970년대에는 시민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정부 주도하에 민족 위인상 건립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민복진 역시 <4·18 의거 기념탑>(1961), <매헌 윤봉길 의사 동상>(1975), <명성황후 순국 숭모비 부조>(1984), <단재 신채호 동상>(1987) 등 동상 제작에도 적극적이었다. 1969년에는 스승 김경승과 함께 이 작품의 원형이 된 <백범 김구 동상>을 제작하였다. <백범 김구 선생상>은 백범 김구 생존 시 만들어진 석고 흉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인물의 이목구비, 의복 등 사실적인 묘사가 눈에 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