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청소년 세상


정보마당 > 청소년 세상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나쁜 기억 글로 해소하려면 자기연민 가져야"
내용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우기 위해 바쁜 생활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굳이 나쁜 기억을 끄집어내 곱씹어보는 사람도 있다. 머릿속으로 안 좋은 생각을 떠올리는 것보다는 글로 적어내는 것이 좋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 하지만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글로 감정을 풀어낼 때도 주의할 점이 있다. <br><br>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와 스위번공과대학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자기연민의 감정을 담은 자아성찰은 고통스러운 감정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스스로에게 다정하고 친절한 태도를 보이라는 것이다. <br><br> 반면 바쁘게 일하면서 정신을 산란케 하는 방법으로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우려고 하면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긍정적인 감정까지 끌어내기는 어렵다. <br><br> 자아성찰을 하기 위해서는 종이와 펜을 준비해 자신의 감정을 적어 내려가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이 득이 될 수도 있고, 실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글을 적어 내려갈 때는 반드시 자기연민의 감정이 동반돼야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br><br> 연구팀은 자기연민과 동정심이 도움이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의 기분이 처지도록 만들기 위해 어둡고 침울한 느낌의 음악(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span class="word_dic en">Russia</span> <span class="word_dic en">under</span> <span class="word_dic en">the</span> <span class="word_dic en">Mongolian</span> <span class="word_dic en">Yoke</span>')을 듣도록 했다. 그리고 슬라이드 쇼에 등장하는 우울한 문구 24개를 재빨리 읽도록 했다. <br><br> 그리고 실험참가자들에게 고통스러웠던 사건에 대해 기록하는 시간을 갖도록 했다. 고통스러운 사건은 실패, 굴욕, 거절과 같은 상황들을 포함한다. <br><br> 단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187명 중 절반에게는 개인적인 판단을 피하고 스스로에게 친절한 어투로 연민과 동정심을 느끼며 글을 써내려가도록 했다. 또 나머지 절반에게는 자기연민이나 동정심을 가지라는 조언을 생략하고 해당 사건과 관련된 자신의 감정에 깊이 빠져들어 글을 쓰도록 했다. <br><br> 그 결과, 자기연민의 태도를 유지하며 글을 써내려간 사람들은 기분이 향상됐다. 반면 해당 사건에 대해 반추적인 태도를 유지한 사람들은 오히려 글을 쓰는 과정에서 기분이 더욱 침울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br><br> 즉 기분이 안 좋을 때 글로써 자신의 감정을 해소할 때는 반드시 자기연민과 동정심의 감정이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상처를 치유하기는커녕 오히려 고통스러웠던 기억에 더욱 함몰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긍정심리학저널(<span class="word_dic en">Journal</span> <span class="word_dic en">of</span> <span class="word_dic en">Positive</span> <span class="word_dic en">Psychology</span>)'에 실렸다.<br><br>전문보기<br>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3&cid=3118&iid=1040189&oid=296&aid=0000022741&ptype=021<br><br>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