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부모 세상


정보마당 > 부모 세상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추석이 다가올수록 불안하고 초조하다고?
내용 “시댁이 싫어서 ’시’자가 들어간 시금치도 안먹는다”는 말이 있다. 여성들이 시집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크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이런 스트레스가 집약되는 때가 명절이다. 못보던 얼굴을 봐 기쁘고 즐거워야 하지만 실상 명절은 여성이나 남성 모두가 상처를 받는 피곤한
때이기도 하다.
<p align="justify"></p>이처럼 명절 때마다 가족 사이에 생기는 크고 작은 갈등 때문에 오히려 명절 자체가 싫거나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음식 준비를 둘러싼 갈등부터 청소년이나 젊은이들한테는 결혼이나 취업 등에 대한 과도한 관심이 오히려 스트레스로 작용하기도 한다.
자칫 명절 뒤까지 소화장애, 복통이나 두통 등 신체의 여러 스트레스성 반응이 생기는 명절증후군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관련 전문의들의 도움말로
이런 명절 스트레스를 줄일 방법을 알아본다.<br><br>설날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이 다가오면 없던 어지럼증이나 두통·복통·심장두근거림·피로감 등과 같은 신체 증상이 생기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증상과
함께 정신적으로 우울해지고, 이유 없이 불안하거나 초조해지며, 무기력감이나 조절할 수 없는 분노감이 들기도 하다. 이 때문에 종종 잠을 이루지
못하고 건망증이나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명절증후군’으로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이는 과거에 명절을 지내며 힘들었던 기억이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다가 다시 떠올라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증상으로 발현되는 것이다.<br><br>대체로 명절증후군은 명절 앞뒤 2~3일 동안 증상이 심하고, 명절이 지나거나 가족 사이의 갈등 상황에서 벗어나면 씻은 듯이 사라진다. 그러나
드물게는 이런 증상이 2주 이상 가는 경우도 있다. 
<p align="justify"></p>평소 다른 공간에서 다른 일을 하며 살던 가족이 모이면 의견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게다가 명절은 전통
또는 관습과, 현대의 생활이 부딪치는 기간이기도 하다. 핵가족으로 살던 사람들이 단 며칠이지만 대가족 경험을 하며 겪는 갈등도 나타난다.
<p align="justify"></p>이 때문에 명절 기간에는 각종 음식이나 제사 준비에 바쁜 주부들뿐만 아니라 결혼·취업 대상인 젊은이들,
가족 사이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남편·시부모도 모두 명절증후군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물론 많은 일을 도맡아야 하는 여성들의
스트레스가 가장 크다.
<p align="justify"></p>과도한 노동에 시달리는 여성들이 명절증후군에서 가장 빠르게 벗어나는 방법은 휴식이다. 적절한 운동이나
취미활동도 도움이 된다. 이번 연휴는 나흘가량인 만큼 추석 뒤에 충분히 쉬어야 한다. <br><br>무거운 물건을 들 때나 간단한 일거리들은 남성한테 맡기고 틈틈이 휴식시간을 갖는 게 좋다. 남편 등 주위 가족의 충분한 이해와 세심한 배려도
필요하다. 남성들은 여성의 일을 적극적으로 도울 뿐만 아니라 여성이 힘들어하는 상황과 이유에 공감하도록 애써야 한다. <br><br>명절에 제사나 집안 갈등 등 해묵은 논쟁거리를 꺼낼 필요는 없다. 꼭 해결해야 할 가족 사이의 갈등이 있다면 명절이 아닌 다른 자리에서 다루는
것이 좋다. 젊은층한테 주로 묻게 되는 결혼이나 취업 등은 구체적으로 하지 말고 직설적인 답변을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을 촉구하는 등
지나치게 사생활을 간섭하는 질문도 피해야 한다.<br><br>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p align="justify"></p>도움말= 김지욱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김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r><br>전문보기:<br><a href="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710280.html";>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710280.html<;/a><br><br>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