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린시정

양주소식


[대표] - 열린시정 > 시정소식 > 양주소식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제공
제목 광견병(공수병)을 근절합시다.
부서
내용 광견병(공수병)이란
? 광견병은 모든 온혈동물(더운피동물)에서 발생되는 질병으로 감염동물로부터 교상(물리거나 할퀸 상처)을 통해 동물 및 사람에게 전파되는 중요한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사람에서는 물 마시는 것을 무서워하게 되어 "공수병(Hydrophobia)"이라고 합니다.
? 감염되면 신경증상, 뇌염 등 중추신경계 병변을 일으켜 대부분 사망하게 되는 사람 및 가축의 법정전염병입니다. ※ 사람 : 제3군 법정전염병 / 가축 : 제2종 법정전염병
발생현황
? 우리나라에서는 휴전선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해마다 소, 개, 야생동물 (너구리)에서 발생되고 있습니다.
? 최근의 주요발생지역은 경기도의 고양시 일부, 파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군, 양주군, 가평군 이고, 강원도의 속초시, 철원군, 양양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입니다. 특히 얼마 전에는 우리군의 인접 시군인 포천군과 연천군에서 공수병에 걸려 2명이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전파경로
? 도시형 광견병 : 감염된 개가 다른 개나 고양이, 소, 말, 사람을 물어서 연속적으로 전파시킵니다.
? 삼림형 광견병 : 감염된 야생동물이 다른 야생동물이나 개 또는 사람을 물게 되면 상처를 통해 전파됩니다.
임상증상
? 광견병(가축)
○ 개의 초기증상은 보통 간헐적으로 나타나서 쉽게 흥분하거나 과민해 지며 사람이나 동물을 공격하며 어두운 곳에 숨고, 동공이 확장되고 성적흥분을 느끼며 암캐는 비정기적으로 발정증상을 나타내고, 귀와 꼬리가 뻣뻣해지고 침을 많이 흘리거나 결막이 충혈되기도 합니다.
○ 개의 감염후기에는 공격성이 증가하여 흙, 풀, 돌 등의 이물을 먹으며 각막반사의 소실과 간헐적인 근육경련?연하곤란을 보이며, 거품 섞인 침을 흘리고, 목소리가 낮아지며 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상증상은 대개 3?7일간 지속되며 대부분 10일이내에 죽게 됩니다.
○ 소에서는 극도로 흥분하며 공격성을 나타내고, 이를 갈고 침을 많이 흘리며 마치 이물이 목에 걸린 듯한 증상을 보이며, 감염후기에는 뒷다리 마비를 보이며 첫증상을 보인 후 3?6일째에 폐사합니다.
? 공수병(사람)
○ 중추신경계 가까운 부위에 물릴수록 발병시기가 빨라지며, 잠복기는 교상의 정도와 물린 부위에 따라 보통 15일?5개월까지 다양하나 보통 20?60일이며 드물게 1년 이상인 경우도 있습니다.
○ 초기에는 열이 나고 불안감, 불쾌감 등이 나타나며, 이후에 물린 부위에 통증과 자극을 느끼게 되어 흥분상태에 빠지고, 빛에 대해서 과민증상을 보이며 동공이 확대되고 침을 많이 흘립니다.
○ 후기에는 연하근이 마비되어 물 등의 액체를 거부하고 두려워하며 침을 삼키지 못하고 호흡근의 경련 및 전신경련 상태가 되어 죽게 됩니다.
○ 합병증으로 요붕증,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부정맥, 혈소판 감소, 위장관 출혈 및 장마비 등의 임상증세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방요령
? 광견병(가축)
○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광견병 예방주사는 3개월령 이상된 동물에게 접종합니다.
소?말 3ml/개?면양?산양 2ml/소형애완견 1ml를 대퇴부 근육내에 매년 반복하여 예방접종을 하며 3개월령 미만의 동물에 접종할 경우 예방접종 후 12개월 경과 때 반드시 2차 접종하고 그 후 매년 1회씩 보강접종을 실시하며 새로 구입한 가축은 전두수에 빠짐없이 실시합니다.
또한 고양이의 경우는 근육 또는 피하에 1ml씩 예방접종한 후 매년 보강접종을 실시합니다.
양주군 및 공수의사 등으로 구성된 예방접종반의 적정한 시술을 위해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축주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 가축이 야생동물(너구리)과 접촉하지 않도록 잘 묶어 키우고, 야생동물이 출현하는 지역에서는 울타리 등 접근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 광견병으로 의심되는 가축이나 야생동물을 발견한 때에는 신속히 가까운 동물병원, 양주군청 농림축산과 축산담당부서(☎820 2321?4) 또는 경기도가축위생연구소 북부지소(☎874 2804)에 신고 하여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 광견병(야생동물)
○ 너구리가 광견병을 전파시키는 야생동물로 확인되고 있으므로 가축이 야생동물(너구리)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 너구리로부터 전파되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미끼 예방약(먹이 속에 넣은 예방약)을 광견병 발생지역과 인접지역에 살포하고 있습니다. 살포기간 중 가축(특히 개와 고양이) 및 어린이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공수병(사람)
○ 감염된 동물에 물렸을 경우, 물린 즉시 그 상처 부위를 수압이 강한 물로 씻은 후 비눗물로 깨끗이 닦고 상처 부위를 알코올 등으로 소독을 합니다.
○ 가까운 의료기관(관할 보건소나 인근 병원)에서 검진 후 면역혈청 주입 및 백신 접종 등의 응급처치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 사람이 개 또는 너구리 등의 야생동물에 물렸을 경우 물은 개(너구리 등)를 격리한 후, 양주군청 축산담당부서(☎820 2321?4)나 가축위생연구소(☎874 2804)에 의뢰하여 검사받도록 해야 합니다.
파일
맨위로